귀인 정씨 (성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귀인 정씨는 조선 성종의 후궁으로, 본관은 초계이다. 정인석의 딸로 태어나 성종과의 사이에서 안양군, 봉안군, 정혜옹주를 낳았다. 숙의 엄씨와 함께 폐비 윤씨를 고발하여 윤씨가 사사되었고, 연산군은 이에 앙심을 품고 1504년 귀인 정씨와 엄씨를 살해했다. 중종반정 이후 신원이 복위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초계 정씨 - 정인욱
정인욱은 2009년 삼성 라이온즈에 입단하여 2020년까지 선수 생활을 했으며, 2013년 동아시아 경기대회에 국가대표로 출전했고, 2021년 은퇴 후 요리점 지점장으로 근무하고 있다. - 초계 정씨 - 정유섭
정유섭은 행정고시 합격 후 공직에 입문하여 국회의원, 당협위원장 등을 역임했으며, 세비 반납 공약 파기 논란과 세월호 관련 발언으로 논란이 일었던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1504년 사망 - 윤필상
윤필상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세조와 성종 때 활약하며 이시애의 난 평정에 기여하고 좌의정을 거쳐 명나라를 도와 건주위 토벌에 공을 세웠으나, 무오사화를 주도하여 사림을 숙청하고 갑자사화 때 사사된 후 중종반정으로 복권되었다. - 1504년 사망 - 효숙황후
효숙황후는 명나라 영종의 후궁이자 성화제의 생모로, 후궁 시녀 출신으로 빈이 되었고 아들 성화제 즉위 후 황태후, 손자 홍치제 즉위 후 태황태후로서 막강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며 명나라 정치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권력 남용 논란 등 긍정적·부정적 평가가 공존한다. - 조선 연산군 - 중종반정
중종반정은 1506년 박원종, 성희안, 유순정 등이 연산군의 폭정에 반발하여 일으킨 정변으로, 연산군을 폐위하고 진성대군(중종)을 왕으로 추대했으나, 왕권 약화, 붕당 정치 심화 등 조선 정치에 여러 문제점을 야기했다. - 조선 연산군 - 폐비 윤씨
조선 성종의 왕비였던 폐비 윤씨는 질투심과 후궁을 해하려 했다는 의혹 등으로 폐위되어 사사되었으며, 그녀의 죽음은 갑자사화의 원인이 되어 조선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귀인 정씨 (성종)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귀인 정씨 |
한자 표기 | 貴人 鄭氏 |
로마자 표기 | Gwiin Jeongssi |
휘 | 정금이(鄭金伊) |
가문 | 초계 정씨 |
배우자 | 성종 |
자녀 | 2남 1녀안양군, 봉안군, 정혜옹주 |
생애 | |
출생일 | 미상 |
사망일 | 1504년 4월 14일 (양력) |
사망 장소 | 조선 한성부 창경궁 |
아버지 | 정인석 |
국적 | 조선 |
기타 | |
비고 | 1504년 당시에 81세 (추정) |
2. 생애
초계 정인석(鄭仁石)의 딸로, 본명은 금이(金伊)이다.[11] 성종의 후궁이 되어 1483년에는 종3품 숙용(淑容)[3], 1504년 무렵에는 정2품 소의(昭儀)에 이르렀다.[4] 슬하에 안양군, 봉안군, 정혜옹주를 두었다. 귀인 엄씨와 함께 폐비 윤씨를 참소하여 폐위에 이르게 한 일로[5][6] 연산군의 원한을 샀다.[5]
1504년(연산 10년) 음력 3월 20일, 연산군에 의해 창경궁 뜰에서 귀인 엄씨와 함께 살해당했다.[12][7] 연산군은 정씨의 아들들에게 어머니를 직접 때리게 했으며[12][7], 시신을 훼손하여 산천에 뿌렸다.[12][7] 두 아들 안양군과 봉안군 역시 이후 사사되었다.[13]
중종반정 이후 1506년(중종 1년) 10월 신원이 회복되었고, 종1품 귀인(貴人)으로 추증되었다.[9] 같은 해 11월, 중종의 명으로 3년간 제물을 받게 되었다.
2. 1. 출생과 가계
본관은 초계이며, 본명은 금이(金伊)이다. 아버지는 정인석(鄭仁石)이다.[11] 성종실록에는 1488년(성종 19년) 숙용 정씨(귀인 정씨)의 남동생과 인수왕 대비의 시녀인 상궁 조씨의 동생을 영구히 양인(良人)으로 삼도록 명했다는 기록이 있다.[10] 이를 통해 본래 신분은 천민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1]관계 | 이름 | 생몰년 | 비고 |
---|---|---|---|
아버지 | 정인석(鄭仁石) | 미상 | |
어머니 | 미상 | 미상 | |
남동생 | 이름 미상 | 미상 | 1488년 양인(良人) 신분 획득[10] |
남편 | 성종(成宗) | 1457년 ~ 1494년 | 조선 제9대 국왕 |
아들 | 안양군(安陽君) 이한(李㤚) | 1480년 ~ 1505년 | |
아들 | 봉안군(鳳安君) 이호(李㦀) | 1482년 ~ 1505년 | |
딸 | 정혜옹주(靜惠翁主) | 1490년 ~ 1507년 | 한기(韓紀)의 정실 |
2. 2. 후궁 시절
본관은 초계이며, 본명은 금이(金伊)이다. 아버지는 정인석(鄭仁石)이다. 성종실록에는 숙용 정씨(귀인 정씨)의 동생과 소혜왕후 전의 시녀인 상궁 조씨의 동생을 모두 양인(良人)으로 삼도록 허가했다는 기록이 있어[11], 본래 신분은 천민이었을 것으로 추측된다.궁에 들어와 성종의 후궁이 되었으며, 슬하에 안양군 , 봉안군 두 아들과 옹주 한 명을 두었다. 1483년에는 종3품 숙용(淑容)에[3], 1504년 시점에는 정2품 소의(昭儀)에 봉해져 있었다[4]. 같은 성종의 후궁이었던 숙의 엄씨와 함께 당시 왕비였던 폐비 윤씨를 성종에게 참소하였고, 이로 인해 윤씨는 폐위된 후 사사되었다[5][6].
연산군은 어머니 폐비 윤씨의 죽음이 귀인 정씨와 귀인 엄씨의 참소 때문이라고 여겨 깊은 원한을 품었다[5]. 1504년(연산 10년) 음력 3월 20일 밤, 연산군은 정씨와 엄씨를 창경궁 뜰에 묶어놓고 폭행했으며, 정씨의 아들인 안양군 과 봉안군 을 불러와 직접 어머니를 때리도록 명령했다. 당시 날이 어두워 안양군은 어머니임을 알아보지 못하고 매질했으나, 봉안군은 어머니임을 알아보고 때리지 못했다고 전해진다. 이에 더욱 격분한 연산군은 두 후궁이 숨을 거둘 때까지 직접 구타했으며, 시신을 갈기갈기 찢어 젓갈을 담가 산과 들에 뿌리도록 내수사(內需司)에 명했다[12][7]. 정씨의 아버지 정인석 또한 80세가 넘은 고령으로 연좌 대상이 아니었음에도[1] 불구하고 같은 해 4월 참수당했다[8]. 두 아들 안양군과 봉안군 역시 외딴 섬으로 유배되었다가 1505년에 사사되었다[13].
중종반정 이후 1506년(중종 1년) 10월, 중종에 의해 신원이 회복되었고, 종1품 귀인(貴人)으로 추증되었다[9]. 같은 해 11월, 중종은 귀인 정씨와 귀인 엄씨 두 사람에게 3년 동안 제물(祭物)을 지급하도록 명했다.
2. 3. 연산군 시대의 비극
연산군은 어머니 폐비 윤씨의 사사가 귀인 정씨와 또 다른 후궁 귀인 엄씨의 참소 때문이라고 믿어 이들을 깊이 원망했다.[5][6]1504년(연산 10년) 음력 3월 20일 밤, 연산군은 귀인 정씨와 귀인 엄씨를 창경궁 뜰로 끌어내 결박하고 직접 폭행했다.[7] 그는 여기서 그치지 않고 정씨의 아들인 안양군 李㤚|이항한국어과 봉안군 李㦀|이봉한국어을 불러 몽둥이로 자신의 어머니를 때리라고 강요했다.[12][7] 당시 날이 어두웠기에 안양군은 어머니임을 미처 알아보지 못하고 명을 따랐으나, 봉안군은 어머니임을 알아보고 차마 때리지 못했다고 전해진다.[12][7]
아들의 행동에 더욱 격분한 연산군은 두 후궁이 숨을 거둘 때까지 직접 몽둥이로 마구 때려 살해했다.[12][7] 이후 연산군은 안양군과 봉안군을 할머니인 인수대비에게 끌고 가 행패를 부렸으며[12], 내수사(內需司)에 명하여 귀인 정씨와 귀인 엄씨의 시신을 갈기갈기 찢어 젓갈로 만들어 산과 들에 뿌리게 하는 참혹한 만행을 저질렀다.[12][7]
이 비극은 귀인 정씨의 가족에게도 이어졌다. 아버지 정인석(鄭仁石)은 당시 80세가 넘어 연좌의 대상이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1], 같은 해 4월에 참수형에 처해졌다.[8] 두 아들 안양군과 봉안군 역시 외딴 섬으로 유배되었다가 이듬해인 1505년에 모두 사사되었다.[13]
중종반정이 일어나 연산군이 폐위된 후인 1506년(중종 1년) 10월, 귀인 정씨는 마침내 신원이 회복되었다.[9] 같은 해 11월, 중종은 귀인 정씨와 귀인 엄씨 두 사람에 대해 3년 동안 제물(祭物)을 지급하도록 명하여 넋을 위로했다.
2. 4. 복권
중종반정으로 연산군이 폐위된 후, 귀인 정씨는 신원이 회복되었다.[9] 1506년(중종 1년) 10월에 공식적으로 복위되었으며, 같은 해 11월에는 중종의 명으로 귀인 엄씨와 함께 3년 동안 제물(祭物)을 지급받게 되었다. 사후 귀인으로 추증되었다.[9]3. 가계
본가는 초계 정씨이며, 성종의 후궁으로 간택되어 왕가인 전주 이씨 집안의 일원이 되었다.
남동생이 한 명 있었으며, 1488년에 그의 신분을 양인으로 올려주라는 명이 내려졌다.[10]
3. 1. 본가 (초계 정씨)
3. 2. 왕가 (전주 이씨)
4. 귀인 정씨가 등장하는 작품
(내용 없음)
4. 1. 드라마
참조
[1]
조선왕조실록
燕山君日記52巻、燕山10年3月27日戊子2回目
[2]
조선왕조실록
燕山君日記52巻、燕山10年3月28日己丑9番目
[3]
조선왕조실록
成宗実録155巻、成宗14年6月12日癸酉1回目
[4]
조선왕조실록
燕山君日記54巻、燕山10年6月27日丙戌6回目
[5]
웹사이트
귀인정씨(貴人鄭氏)
http://people.aks.ac[...]
2019-02-02
[6]
간행물
燃藜室記述 第6輯「尹妃廃死」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
[7]
조선왕조실록
燕山君日記52巻、燕山10年3月20日辛巳5回目
[8]
조선왕조실록
燕山君日記52巻、燕山10年4月1日壬辰7番目
[9]
조선왕조실록
中宗実録1巻、中宗1年11月11日丙戌4回目
[10]
조선왕조실록
成宗実録220巻、成宗19年9月18日、戊寅2回目
[11]
조선왕조실록
성종 19년(1488) 9월 18일 2번째 기사
1488-09-18
[12]
조선왕조실록
연산 10년(1504) 3월 20일 5번째 기사
1504-03-20
[13]
조선왕조실록
연산 11년(1505) 6월 15일 1번째 기사
1505-06-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